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동대문에 길게 늘어선 노란 천막들, 외국인들이 주로 찾는 노점 시장인데요. <br> <br>손님 많다고 좋아할 일이 아닌 게 알고 보면 이 물건들 다 '짝퉁'입니다. <br> <br>단속을 해도 오히려 국내 유명 브랜드 짝퉁을 사 가는 관광 코스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, 김태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길가에 길게 늘어선 노점상들. <br> <br>국내 최대 짝퉁 시장으로 꼽히는 새빛시장입니다. <br> <br>대대적인 단속으로 잠시 사그라들었던 짝퉁 판매업자들이 최근 상품 종류를 바꿔 다시 불법 영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 찾아가 봤습니다.<br> <br>유명 브랜드 제품을 베껴 만든 짝퉁 지갑과 벨트, 옷들이 매대 가득 진열돼 있습니다. <br> <br>해외 명품을 위조한 제품 사이로 한국 브랜드를 그대로 카피한 상품이 눈에 띕니다. <br><br>국내 브랜드 제품을 본떠 만든 짝퉁, 그러니까 가품 티셔츠입니다.<br> <br>정품은 30만 원대에 팔리지만, 이곳에선 단 돈 3만 원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<br> <br>안경점에서는 국내 브랜드를 베껴 만든 짝퉁 안경테를 판매 중인데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매장에선 35만 원 줘야 되는데, (여기서는) 3만 원. 일본 손님들은 막 사 가지." <br> <br>어느새 외국인 관광객들에겐 짝퉁 'K-브랜드' 제품을 싸게 살 수 있는 이 곳이 관광 필수 코스가 됐습니다. <br> <br>[스웨덴 관광객] <br>"인터넷에서 '한국 야시장'을 검색했더니 이 곳이 제일 먼저 나오더라고요. 그래서 구경하러 왔어요." <br> <br>외국인 방문 선호도 1위 남대문 시장도 상황이 비슷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한국 브랜드 어떤 게 있어요?)"○○○, 아니면 ○○○ 이런 거…" <br> <br>K팝 등 한류 열풍으로 국내 브랜드의 위상이 함께 높아지자 짝퉁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겁니다. <br> <br>[일본 관광객] <br>"남편이 ○○○(한국 브랜드) 디자인을 좋아해요. (백화점 말고 여기서 사시는 이유가?) 싸니까요." <br> <br>관할 구청과 경찰, 특허청이 불시 단속을 벌이지만 역부족입니다. <br> <br>상인들은 단속 정보를 공유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재빨리 불을 끄고 상품을 차에 옮겨 싣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영업 끝났어요?) 단속이 들어와서." <br> <br>최근 짝퉁 K-브랜드를 찾는 외국인 대상 매출이 높아지다 보니 단속을 피해 영업을 이어가는 겁니다. <br> <br>상표권을 침해당한 국내 브랜드들은 마땅한 대응책이 없어 속만 타들어갑니다. <br> <br>[한국패션협회 관계자] <br>"사실 저희(피해 브랜드)는 가서 그걸 못하게 할 아무런 권한이 없잖아요. 소비자 인식 개선, 이런 쪽으로 일단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고요." <br> <br>짝퉁이 한국 고유의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만큼 단속 인력을 늘리고, 위조품에 대한 신고를 적극 유도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김태우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